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9)
[k8s] 쿠버네티스(Kubernetes) 설치 및 환경 구성 참고사이트 https://medium.com/finda-tech/overview-8d169b2a54ff 쿠버네티스(Kubernetes) 설치 및 환경 구성하기 How to configure a Kubernetes cluster medium.com
[Linux] 메모리(Memory)와 GC(Garbage Collection) Tutorials and Documents https://www.oracle.com/webfolder/technetwork/tutorials/obe/java/gc01/index.html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technotes/guides/vm/gctuning/generations.html#sthref16 1. GC (Garbage Collection) 가비지 컬렉션 자바는 실행될때 자바 자체 운영체제에서 돌아가는데 그게 바로 자바 가상머신JVM이고 이때 사용되는 객체를 자동으로 관리해 주는 기능이 가비지 컬렉션입니다. 객체는 JVM Heap 영역에 저장되며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Young 영역, Old 영역, Perm 영역이 있습니다. Perm..
[Linux] OS, CPU, MEM 정보 확인 명령어 Linux OS 정보 확인 명령어 일반적인 커널의 정보 확인 [root@k8s-master1 ~]# uname -a Linux k8s-master1 3.10.0-1160.25.1.el7.x86_64 #1 SMP Wed Apr 28 21:49:45 UTC 2021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OS 버전 확인 [root@k8s-master1 ~]# cat /etc/*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9.2009 (Core) Derived from Red Hat Enterprise Linux 7.9 (Source) NAME="CentOS Linux" VERSION="7 (Core)" ID="centos" ID_LIKE="rhel fedora" VERSION_I..
[Linux] File Descriptor의 개념과 이해 1. 개념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란 리눅스 혹은 유닉스 계열의 시스템에서 프로세스(Process)가 파일(File)을 다룰 때 사용하는 개념으로, 프로세스에서 특정 파일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추상적인 값이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일반적으로 0이 아닌 정수값을 갖는다. 흔히 유닉스 시스템에서 모든 것을 파일이라고 지칭한다. 일반적인 정규파일부터 디렉토리, 소켓, 파이프, 블록 디바이스, 케릭터 디바이스 등 모든 객체들을 파일로 관리한다. 유닉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가 이 파일들을 접근할 때 파일 디스크립터라는 개념을 이용한다. 프로세스가 실행 중에 파일을 Open하면 커널을 해당 프로세스의 파일 디스크립터 숫자 중 사용하지 않는 가장 작은 값을 할당해준다. 그 다음 프로세스가 열려있는 ..
[Linux] Epoll의 기초 개념 및 사용 방법 참고사이트https://rammuking.tistory.com/entry/Epoll%EC%9D%98-%EA%B8%B0%EC%B4%88-%EA%B0%9C%EB%85%90-%EB%B0%8F-%EC%82%AC%EC%9A%A9-%EB%B0%A9%EB%B2%95
[Process]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의 개념과 종류 참고사이트 https://sujinnaljin.medium.com/socket-java-socket-%ED%86%B5%EC%8B%A0-d5b5a27a50a0
[Process] 프로세스(Process)와 쓰레드(Thread)에 대한 이해 프로세스(Process) 란? 프로세스는 실행될 때 운영체제로부터 각각 독립되 메모리 영역(Code, Data, Stack, Heap)을 할당받는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하나의 쓰레드가 같이 생성된다. 이를 메인 쓰레드라고 부르며,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되지 않으면 모든 프로그램 코드는 메인 쓰레드에서 실행된다. 각 프로세스는 별도의 주소 공간에서 실행되며 프로세스 간에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할 수 없다. 프로세스간 통신은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을 사용해야한다. 예를 들어서 파이프라인, 파일, 소켓 등이 이에 해당된다. 운영체제로 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하나의 독립적인 작업 단위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컴퓨터에서 연속적으..
[JSP] JSTL의 개념과 이해 참조 : https://velog.io/@ye050425/JSP-JSTL-%EC%A0%95%EB%A6%AC